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 | Issue🌈

2026 예비부부 신혼부부 대상 출산지원금 혜택

by SoonLee 2025. 9. 21.
728x90
반응형

2026년 결혼을 준비 중이라면, 지금이 바로 혜택의 골든타임이에요!

🎉 정부가 저출산 해소와 주거 안정을 위해 예비부부·신혼부부 대상 혜택대폭 확대했거든요. 아래에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릴게요:

💍 2026 예비·신혼부부 혜택 총정리

✅ 1. 혼인신고만 해도 세금 공제!

  • 최대 100만 원 세액공제 (1인당 50만 원씩)
  • 초혼·재혼 모두 가능
  • 혼인신고 시점 기준으로 연말정산에서 적용

 

🏠 2. 청약 기회 2번! 신혼특공 + 출산특공

  • 결혼 후 신혼부부 특별공급 1회
  • 자녀 출산 후 출산가구 특별공급 1회 추가
  • 청약 당첨 확률 2배 상승

 

🏡 3. 공공주택 우선 공급

  • 신규 택지 2만 가구 중 70%가 신혼·출산·다자녀 가구 대상
  • 청약 가산점 + 우선순위 배정으로 내 집 마련 가능성 UP

 

👶 4. 출산지원금 전액 비과세

  • 자녀 출산 시 기업 출산지원금 한도 없이 비과세
  • 실수령액 100% 보장, 육아 자금으로 활용 가능

 

✨ 추가 혜택도 있어요!

항목내용

자녀세액공제 확대 첫째 25만 원, 둘째 30만 원, 셋째 이상 40만 원으로 인상 예정
신혼희망타운 임대료 인하 시세의 60% 수준으로 주거비 부담 완화
출산가구 주거보조금 서울시 기준 월 최대 30만 원, 2년간 지원
전세자금 대출 우대 소득·자산 기준 완화, 우대금리 적용
농촌 이주 시 정착지원금 지자체별로 지원금 제공, 새로운 시작 가능

 

👶 2025년 출산지원금 요약

🟡 정부 지원금

항목금액대상

첫만남이용권 첫째 200만 원 / 둘째 이상 300만 원 / 쌍둥이 500만 원 출생아 기준
부모급여 만 0세: 월 100만 원 / 만 1세: 월 50만 원 가정양육 시
아동수당 월 10만 원 만 8세 미만 아동
양육수당 월 10만 원 24~85개월 가정양육 시

💡 이 모든 걸 합산하면 최대 약 3,600만 원까지 수령 가능.

 

🟢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

  • 서울: 자치구별로 상이 (첫째부터 지급하는 구도 있음)
  • 경기도: 셋째 이상은 500만 원 이상 지급하는 시·군도 있음
  • 지방 군 지역: 출산율 높이기 위해 수도권보다 더 많은 금액 지원하는 경우도 많음

📌 지자체 지원은 거주지 기준으로 신청해야 하며, 출생 후 1년 이내 신청이 원칙이에요.


해당 구청 홈페이지복지로에서 꼭 확인해보세요. 필요하시면 제가 구별 지원금도 정리해드릴게요!

💡 2025~2027년은 결혼 준비 커플에게 최고의 시기예요.

728x90
반응형